→ 차원을 줄임으로써 차원의 저주를 방지할 수 있음.
자세한 내용은 혼공머신.. 공부 정리한 곳에
PCA는 모든 독립 변수들의 총 분산을 기반으로 요인을 추출하기 떄문에 전체 변수를 가장 잘 설명해주는 순으로 주성분의 우위가 결정됨. 반면 CFA는 공통분산만을 기반으로 하여 요인을 추출!
→ CFA로 생성한 주성분들은 서로 간에 무엇이 더 중요한 변수라는 우위 개념이 없음.
요인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독립 변수들 간의 상관성이 요인분석에 적합한지 검증을 해야 함.
적합성을 검증한 후에는 요인분석을 통해 생성되는 주성분 변수들의 고윳값을 확인하여 요인의 개수를 결정. 고유값이 1 이상인 요인만 선택하며, 총 분산의 60% 이상을 설명해 주는 요인까지 선정함.
스크리 도표: 요인 수에 따른 고유치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
그래프의 경사가 낮아지는 지점 → elbow point